Journal Archiv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Vol. 30 , No. 6

Standardization of Metadata for Urban Meteorological Observations 도시기상 관측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표준화

Author: Yunyoung SongAffiliation: Weather Information Service Engine, Center for Atmospheric Science & Earthquake Research
Author: Jung-Hoon Chae
Author: Min-Hyeok Choi
Author: Moon-Soo Park*
Author: Young Jean Choi
Correspondence: *Tel : +82-70-4617-3769, Email : ngeograph2@gmail.com

Journal Information
Journal ID (publisher-id): JKSAE
Journa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ISSN: 1598-7132 (Print)
ISSN: 2383-5346 (Online)
Publisher: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Article Information
Received Day: 12 Month: 08 Year: 2014
Revised Day: 09 Month: 10 Year: 2014
Accepted Day: 25 Month: 11 Year: 2014
Print publication date: Month: 12 Year: 2014
Volume: 30 Issue: 6
First Page: 600 Last Page: 618
Publisher Id: JKSAE_2014_v30n6_600
DOI: https://doi.org/10.5572/KOSAE.2014.30.6.600

Copyright © 2014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Abstract

The metadata for urb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is standardized through comparison with those established at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and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o underst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round the sites exactly and maintain the networks and sites efficiently. It categorizes into metadata for an observational network and observational sites. The latter is again divided into the metadata for station general information, local scale information, micro scale information, and visual information in order to explain urban environment in detail. The metadata also contains the static information such as urban structure, surface cover, metabolism, communication, building density, roof type, moisture/heat sources, and traffic as well as the update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change, maintenance, replacement, and/or calibration of sensors. The standardized metadata for urb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is applied to the Weather Information Service Engine (WISE) integrated meteorological sensor network and sites installed at Incheon area. It will be very useful for site manager as well as researchers in fields of urban meteorology, radiation, surface energy balance, anthropogenic heat, turbulence, heat storage, and boundary layer processes.


Keywords: Metadata, Meteorological observation, Meteorological station, Standardization, Urban

1. 서 론
1. 1 도시 기상

산업화 이후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세계 인구 중 50% 이상이(IMF, 2007), 우리나라 인구의 90% 이상이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http://www.city.go.kr). 도시는 자연적인 지표와는 달리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와 같은 인공적인 불투수층 지표로 인해 도시 열섬, 돌발 홍수와 같은 극단적인 기상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며(Oke, 1982), 상대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그 영향을 받기 때문에 도시에서 기상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Lee et al., 2008; Grimmond, 2006; WMO, 2006; Jang and Kim, 1991).

도시에서 나타나는 기상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다양한 집중 관측이 수행되었거나 진행 중에 있다. 예를 들면, 스위스의 바젤의 BUBBLE(Basel Urban Boundary Layer Experiment), 미국 오클라호마시의 OKC(Oklahoma City) Micronet, 일본 도쿄의 TOMACS(Tokyo Metropolitan Area Convention Study for Extreme Weather Resilient Cities), 중국 상하이의 SUIMON(Shanghai’s Urban Integrated Meteorological Observation Network) 프로젝트 등이 있다(Tan et al., 2014; Basara et al., 2010; Rotach et al., 2005). 우리나라의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 (Weather Information Service Engine: WISE)에서도 도시 기상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방재, 도로, 에너지, 환경 등에 필요한 융합기상 서비스를 개발하고자(Choi et al., 2013), 인천 지역에 복합기상센서 관측망(Chae et al., 2014)과 서울의 중랑과 광화문에 에너지 수지 및 에어러솔 라이다, 운고계 관측망을 구축하였으며(Kwon et al., 2014; Park et al., 2014) 지속적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1. 2 메타데이터와 기상

메타데이터는 메타(meta)와 데이터(data)가 조합된 것으로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메타데이터는 방대한 자료를 구조적으로 정리하고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각 분야의 특성에 맞게 구성 양식을 가지며, 자료의 통합과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내용과 형식을 표준화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지리정보시스템 분야에서는 ISO 19115를 통해, 생물다양성 분야에서는 GBIF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를 통해, 기상 분야에서는 세계기상기구(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를 통해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Jeon, 2011; Jeon and Kim, 2010; Nam and Lee, 2010; Yoo, 2010; NRC, 2009; Ahn et al., 2008; Lee and Kwak, 2007; NISO, 2004; Aguilar et al., 2003; Kim et al., 2003).

WMO에서는 관측소 설립과 운영 방안 및 관측 방법, 장비에 대한 전반적인 지침과 함께 메타데이터 작성을 위한 기본 사항을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관측소 정보, 지리적 정보, 장비 정보, 관측소 연혁, 담당자 정보 작성 등을 제안하고 있다(WMO, 2011, 2010a, b, 2008, 2003). 특히, 농업 지역 관측소에서는 관측소의 주요 작물, 농업체계, 자연적 생산량에 대한 정보, 토양 유형, 토양 프로파일, 물리 상수 등을 추가적으로 기입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기상 관측은 기상청, 환경부, 지방자치단체, 한국수자원공사 등 각 기관 별로 목적에 따라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관측 환경이 통일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관측 변수라 하더라도 다른 기관에서 활용하기 어려움이 있었다(KMA, 2007).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상청에서는 관측업무의 표준화를 위한 기상관측표준화법을 2005년에 제정하였으며, 더 나아가 최적의 국가기상관측망 구축과 운영을 위한 기상 관측망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메타데이터 작성을 권고하였다(KMA, 2012). 그 후 기상청에서는 “메타정보 조사 및 운영 매뉴얼”을 작성하여 기상청 자동기상관측장비에 대한 메타데이터 작성 항목뿐만 아니라 작성 방법과 순서를 상세히 제시하였으며 (KMA, 2013), 기상기후정보통합웹 포털 아래 통합메타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http://oss.kma.go.kr).

1. 3 도시기상과 메타데이터

도시기상 관측의 경우 종관 기상 관측과 매우 다르기 때문에 WMO에서는 도시 관측소의 위치와 건물이 많은 도시에서 적합한 센서의 위치 및 높이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WMO, 2006), 도시기상 연구자들은 도시의 열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도시 기후대(urban climate zone) 구분을 제안하였다(Stewart, 2011; Oke, 2009, 2006, 2004).

도시에는 기온이나 바람에 영향을 주는 건물이나 도로와 같은 인공 구조물이 매우 많기 때문에 도시에서 관측된 기상 자료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관측 장비의 주변 환경과 설치 정보가 필요하다. 또한, 도시에서는 관측소 주변에 새로운 건물 또는 도로가 건설되는 등 주변 환경 변화가 극심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보 역시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도시에서의 기상 관측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일부 연구자에 의해 제시되기는 하였지만(Muller et al., 2013),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표준화가 시행된 사례가 없는 실정이다.

1. 4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WMO와 KMA에서 작성된 종관 기상 관측에 대한 지침과 WMO에서 제시한 도시기상 관측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도시기상 관측에 적합한 메타데이터를 표준화하였으며, 이를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WISE)에서 구축한 복합기상센서 관측망에 적용한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2. 도시기상 관측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 1은 WMO에서 제시한 메타데이터 기본 항목과 기상청(KMA) 메타데이터 항목과 도시기상 관측을 위한 메타데이터(WISE 메타데이터)의 항목을 비교한 것이다. 기상청 메타데이터는 크게 관측소, 장비와 센서 정보로 나눠져 있고 세부 사항들은 WMO에서 제시한 요소를 따라 관측 지점의 세부 정보, 담당자 정보, 환경 정보 등을 담고 있다. 또한 주변 환경과 지리 정보 보다 관측 장비에 대한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데, 이는 메타데이터가 관측 장비 관리 위주로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센서 부품명, 제조사, 바코드 등 장비에 대한 세부 항목과 사진 촬영 방법, GPS 측정 방식까지 상세하게 설명 되어있으며, 또한 표석을 설치하여 관측 지점을 명확하게 표시하여 관리하고 있다.

Table 1. 
Comparison of metadata for meteorological observation operated in 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SE (Weather Information Service Engine). The symbol of ‘*’ indicates a ‘minimum requirement’.
Classification WMO KMA WISE
Station identifiers Local code* Station Number -
WMO code* Standard Station Number -
Name and aliases* Station Name Station ID /Name, Alias
Active, Closed - Status
Beginning, End date Start date, End date Start date, End date
Type of station - Type
Responsible organization Management Agency,
Operating authority,
Operating authority
Project partner
Manual/AWS Operation method -
Time zone - -
Networks - Network ID/Name, Type, Offline
dates, Areal extent, Spatial
density, Number of stations,
Contact information,
Geomorphology, Network Map,
Network History, Description
Additional elements Operation cycle, Address, Building
stories/area/areal extent, Station
Image (Station Photographs/
Panoramic Photographs), Purpose
of installation instruments, Station:
width, length, location, Station
stories, Post stone (Installation
before/after)
LCZ, DRC, Frequency of visits,
Station address, Building spaces/
density/stories/age/types/material
/height, Station photograph (s),
Panoramic photograph (s),
Location, Street widths, Roof
types/material, Additional
Comments, Version, Moisture/
heat vents, Aspect ratio
Geographical data Latitude, Longitude* Coordinate (WGS84) Latitude, Longitude
Elevation* Altitude Elevation
Dates of relocation* - Relocation
Topographical information - Geography, Terrain,
Orography (Mountain)
Method of deriving lat/long - -
Resolution of lat/long - -
Additional elements GPS Measurement point/date/time -
Local environment Local land use, Land cover - Surface cover
Instruments exposure - -
Soil type - Material below cover
Site condition - Irrigation, Urban fabric,
Urban metabolism
Photographs Interior/exterior 8 direction
photographs
Cardinal Photograph (s),
Satellite photograph
Site plans Site plans, Sensor plans Key, Sketch Map, Horizon Map
Skyline diagrams VR Panorama, Hemi view Sky view factor/photographs
Additional elements - Tree height/species, Water,
Mountain, Traffic density
Station instrumentation
and maintenance
Type of instruments Instruments Instruments, Enclosure
name/latitude/longitude/elevation
Instrument comparisons - -
Start, end dates of instruments Manufactured date, Installation date -
Condition of instruments - Mount type/location,
Height of sensor (s)
Instrument sheltering
and mounting
- -
Type of recording - -
Calibration results - -
Special maintenance/Faults - Maintenance Log
(Station/Instrument history)
Modifications - -
Barometer height - -
Additional elements Instrument Name, Model Name,
Bar code, Manufacturer, S/N,
Line type, Circuit number,
Observation tower height (m),
Service life, Purchasing method/
acquisition cost, Verification agency/
date/valid date/introduction date,
Replacement time, Route of gathering
observational data, Data format
Relocation, Enclosure
Photograph, Power
Sensor information
Classification, Part name, Sensor turn/
status, Valid date (start/end),
Manufacturer, Model name, Bar code,
S/N, Manufactured date, Introduction
date, Calibration date, Acquisition cost,
Measurement method, Installation
direction/height, Source area, Accuracy,
Sample cycle, Operational frequency,
Transmission output, Transmitter-receiver,
Bandwidth, Receiver sensitivity, Variables
Observing Practices Observer information Contact, E-mail, Phone/Mobile Contact, E-mail,
Phone/Mobile/Address
Observer level of training - Variables
List of observed elements - -
Observing times - -
Units used - -
Observation instructions - -
Routine maintenance operations - -
Disposable items replacement - -
Corrections made by observer - -
Additional elements - Source areas
Data processing Units* - -
Special codes* - -
Data processing Calculations* - -
Algorithms* - -
QC applied? (yes/no)* - -
Other details on QC - -
Homogenization applied?
(yes/no)*
- -
Other details on homogenization - -
Data recovery effort? (yes/no)* - -
Other details on data recovery - -
Treatment of redundant data - -
Historical events Changes in the social, politic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 Additional Comments
(Station changes/Remarks)
Daylight savings dates - -
Communication Signal transport/data transmission Communication method Technical information,
Signal transport information
General correspondence - -
Additional elements - Communication
Name/Type/Password/Owner,
Backup, ICT contact/Phone/H.P/
E-mail

WISE 메타데이터는 WMO에서 제시한 최소 필요사항에 대한 내용들을 반영하였으며, WMO 도시기상 관측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Muller et al. (2013)이 제시한 메타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도시기상 연구 목적으로 작성되므로 관측소의 기본 정보뿐만 아니라 관측 변수에 영향을 끼치는 지리적 정보와 건물간격, 밀도, 재질이 건물 정보 등 주변 환경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하였고, 바람의 흐름과 복사량에 영향을 미치는 산지/수역 분포와 함께 도시 기후대 구분 정보를 담고, 각 관측소마다 생산된 데이터가 무선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통신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반면에, WISE 메타데이터는 기상청 메타데이터처럼 장비 부품명이나 시리얼 번호와 같은 장비의 상세 항목은 작성하지 않지만, 센서의 종류와 설치 높이에 해당하는 정보는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현재 계획된 관측망은 국내 도시 관측소에 국한되기 때문에 WMO 메타데이터에서 제시된 국가와 지역 구분 항목들(local code, WMO code, time zone)은 제외하였다.

Muller et al. (2013)이 제안한 메타데이터는 WISE 메타데이터와는 달리 관측망 운영, 전체 관측망(하위 관측망), 개별관측소, 개별 장비의 4부분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관측망 운영과 관리를 위한 정보를 따로 분류하고 장비 모델, 정밀도, 제조사 등의 장비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WISE 메타데이터는 도시 기상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관측 지점의 환경 정보까지만 포함하여 간소화하였다.

그림 1표 1에서 제시된 항목으로 구성된 WISE 메타데이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장비에 따라 구분된 관측망(network) 메타데이터와 장소에 따라 구별되는 관측소(station) 메타데이터로 구성되어있으며, 관측소 메타데이터는 다시 규모에 따라 일반 정보(station general information), 국지규모 정보(local scale information), 미세규모 정보(micro scale information)로 나누고 관측소의 시각 정보 (visual information)와 관리일지를 포함하고 있다.


Fig. 1. 
The structure of the WISE metadata.

2. 1 관측망 메타데이터

관측망 메타데이터는 관측 장비 별로 작성되며 설치된 모든 관측 지점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으로 기록되는 세부 정보 항목은 표 2에 제시하였다. 기상청의 경우 자동기상관측장비에 국한되어 메타데이터가 작성되었기 때문에 관측망 메타데이터는 별도로 작성되어 있지 않다.

Table 2. 
Contents of the network metadata for urb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are listed. The ‘R’ and ‘O’ in recording time column indicate ‘as required’ and ‘once’, respectively.
Network Metadata
Classification Contents Time
Date R
Observer R
Version R
General information Network ID O
Network name O
Network type O
Operating authority O
Project partner R
Variables R
Description O
Network contact R
Contact phone/Mobile R
Contact e-mail R
Contact address R
Start date O
End date O
Offline dates R
Network size Areal extent R
Spatial density R
Number of stations R
Geomorphology R
Orography R
Geography data R
Network map Key R
Network map R
Network history Date R
Description R

관측망 메타데이터는 상단에 작성일자, 작성자, 문서버전을 포함하여 관측망 일반 정보(network general information), 규모 정보(network size information), 지도(network map), 관측망 이력(network history)의 4 가지로 구분하였다(그림 2). 관측망 일반 정보에는 관측망 이름, ID, 관측변수, 담당자 정보 등의 기본 사항을 기입하였고, 관측망 규모 정보에는 관측망의 공간 범위 및 밀도, 지형 정보 등의 관측망의 지리 정보와 더불어 관측소의 개수를 기록하였다. 관측망 지도는 장비가 설치된 모든 지점을 한번에 담을 수 있는 지도에 관측소가 모두 표현되도록 하였다. 관측망 이력에는 관측망 설립 및 운영 프로그램의 갱신, 관측망의 수정 사항 등을 수시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관측망 메타데이터 작성 목록은 맨 처음에 한 번만 작성하면 될 항목에는 ‘O’로, 수시로 변경 가능한 항목에는 ‘R’로 표시하였다(표 2).


Fig. 2. 
An example of the WISE network metadata on the integrated meteorological sensor network.

그림 2는 관측망 메타데이터를 WISE 복합기상센서 관측망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복합기상센서 관측망은 인천 지역 도시의 집중 관측을 위해서 설치된 것으로 인천 지역의 드림파크 승마장, 드림파크 골프장, 계양 양궁장, 십정 경기장, 숭의 축구장 5개소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Chae et al., 2014). 관측망 일반정보에는 복합기상센서 관측망 ID와 함께 장비에서 관측되는 기온, 습도, 바람 등의 변수 정보와 작성자 및 담당자의 정보가 담겨 있으며 관측 시작일이 기입되어 있다. 또한 관측망 규모 정보에는 모든 관측소를 포함하는 규모의 실제 크기, 공간 밀도 정보와 산, 바다, 강, 평지의 지리적 요소에 대한 주변 정보를 간략하게 담고 있으며, 관측망 지도에서는 5개 각 관측 지점이 코드 형식으로 지도 위에 표시되어있다.

2. 2 관측소 메타데이터

관측소 메타데이터는 장비가 설치된 하나의 관측 지점에 대한 상세 정보를 기록한 것으로 관측망에 포함된 관측소의 수만큼 작성된다. 예를 들어, 복합기상센서 관측망은 인천의 5개소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5개의 관측소 메타데이터를 작성하였다.

관측소 메타데이터는 상단에 작성일자, 작성자, 문서버전, 관측망 ID를 기록하고(그림 3) 규모에 따라 일반 정보, 지역규모 정보, 미세규모 정보로 세분화하였으며, 시각 정보를 추가하였다.


Fig. 3. 
The WISE station general information metadata on the Dream Park CC.

2. 2. 1 일반정보 메타데이터

관측소 메타데이터의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되는 관측소 일반 정보는 장비 설치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등 관측망 메타데이터에서 기록된 기본 정보와 함께 관측소 지도 정보, 현재 운영 상태, 지형 정보, 세부 장비명 등을 기입하고, 지점의 통신 정보(st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여 데이터 전송 타입과 통신 담당자의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관측소 지도 정보에는 관측소 주변의 대략적인 지리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4 km×4 km의 수평 규모의 스케치 지도를 넣었고, 추가 설명(additional comments) 항목에는 특이 사항이나 관측소 주변의 환경 변화 등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상세한 입력 항목은 표 3에 제시하였다.

Table 3. 
Contents of the station general information metadata for urb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are listed. The ‘R’, ‘O’, and ‘A’ in recording time column indicate ‘as required’, ‘once’, and ‘annually’, respectively.
Station Metadata
Classification Contents Time
Network ID O
Date R
Observer R
Version R
General information Station ID O
Station name O
Station type O
Station alias(s) R
Status R
Location A
Latitude R
Longitude R
Elevation R
Variables R
Orography A
Instruments R
Power R
Station contact R
Contact phone/mobile R
Contact e-mail R
Station address R
Start date R
Stop date R
Frequency of visits A
Sta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s name R
Communications type R
Communications network owner R
Communications password R
Communications backup R
Signal transport information R
Technical information R
ICT contact R
Contact phone/mobile R
Contact E-mail R
Station Map Key R
Sketch map R
Satellite photograph R
Additional comments R

그림 3은 복합기상센서가 설치된 인천의 5개소 중에서 드림파크 골프장(ID: 01002)에 적용한 관측소 일반정보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에서 제시되었던 WISE 복합기상센서 관측망의 메타데이터에서 01002로 표시된 드림파크 골프장 지점의 위도, 경도를 비롯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즉, 드림파크 골프장은 도시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부 장비로는 복합기상센서, 풍향계, 풍속계, 우량계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료는 무선 통신의 CDMA 형식으로 전송되고 있으며, 지도에서처럼 관측 지점 주변은 공원과 도시, 산업지역, 강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2. 2 국지규모 정보 메타데이터

관측소 국지규모 정보 메타데이터는 관측소 일반 정보 메타데이터에서 나타난 지도 규모에 비해 10배 확대된 스케치 지도를 넣어 관측소 주변 건물의 구조와 근접 환경에 대한 정보를 담을 수 있도록 하였다. 관측소 주변의 도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거칠기 길이에 따라 8단계로 분류된 DRC(Davenport Roughness Class)와 건물의 형태와 밀도, 지표면 상태에 따라 분류된 도시 기후대 분류인 LCZ (Local Climate Zone)를 기록하였다 (Stewart and Oke, 2012; Davenport et al., 2000).

표 4는 국지 규모 정보 메타데이터의 기입 항목을 나타낸 것이다. 관측소를 중심으로 400m×400 m 범위 내의 나지, 농지, 수역 등에 대한 지표 피복의 구성비와 근접한 수역의 크기, 열원, 수증기원과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도시 구조 재료, 건물 사이의 거리, 밀도, 건물의 유형과 재질 등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여 주변 환경이 관측 자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Table 4. 
Contents of the station local-scale information metadata for urb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are listed. The ‘R’, ‘O’, ‘A’, ‘H’, ‘D’, ‘W’, and ‘S’ in recording time column indicate ‘as required’, ‘once’, ‘annually’, ‘hourly’, ‘daily’, ‘weekly’, and ‘seasonal’, respectively.
Station Metadata
Classification Contents Time
Local scale DRC A
LCZ A
Relocation R
Surface cover A
Urban fabric A
Urban metabolism A
Building spaces A
Building density A
Tree height S
Tree species S
Water A
Mountain A
Terrain A
Aspect ratio A
Street widths A
Traffic density D,W,H
Building stories A
Building age A
Building types A
Building material A
Roof types A
Roof material A
Local scale map Key A
Sketch map A
Additional comments R

그림 4는 복합기상센서가 설치된 드림파크골프장(01002)에 대한 국지 규모 정보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드림파크골프장의 특성은 DRC가 N-3, E-3, S-3, W-3로 4방위 모두 개방형 초지로 이루어져 있고(Davenport et al., 2000), LCZ는 9B로 주변 건물형태는 저밀도, 저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토지 위의 나무는 흩어져 있는 정도로 산재되어 있다(Stewart and Oke, 2012). 또한 지표의 피복 비율 정보에서 초목이 85%를 차지하고 있고, 관측소 주변은 잔디로 둘러 쌓여 있으며, 산지 없이 평평한 지면과 낮은 건물들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스케치 지도를 통하여 관측소 주변의 초원 형태와 나무의 위치를 알 수 있고, 도로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지도의 4방향의 끝에는 인접 지형과 떨어진 거리를 간략하게 설명하였는데, 서쪽으로 5 km 떨어진 지점에 바다가 있으며, 동쪽으로 3.3 km 떨어진 지점에 산이 있음을 나타낸다.


Fig. 4. 
The WISE station local-scale information metadata on the Dream Park CC.

2. 2. 3 미세규모 정보 메타데이터

미세규모 정보 메타데이터는 국지규모 정보를 관측소를 중심으로 10배를 확대한 40m×40 m 영역의 스케치 지도를 넣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입 항목을 표 5에 제시하였다. 미세규모 정보는 실제 설치된 장비 구도의 가장 작은 범위이므로 장비 설치 위치와 높이, 설치 유형을 비롯하여 장비의 관측 범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설치된 장비 주변에 수증기원, 열원, 오염원 여부를 기록하도록 하여 관측 자료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외부 영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스케치 지도에서는 실제 설치된 장비의 근접 환경을 나타내고, 추가 설명 항목을 통해 관측소의 변화와 특이 사항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Table 5. 
Contents of the station micro-scale information metadata for urb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are listed. The ‘R’, ‘O’, ‘A’, ‘H’, ‘D’, ‘W’, and ‘S’ in recording time column indicate ‘as required’, ‘once’, ‘annually’, ‘hourly’, ‘daily’, ‘weekly’, and ‘seasonal’, respectively.
Station Metadata
Classification Contents Time
Micro scale Enclosure name R
Relocation R
Enclosure latitude R
Enclosure longitude R
Enclosure elevation R
Mount type R
Mount location R
Height of sensor(s) R
Surface cover S
Material below cover S
Building type A
Building heights A
Tree height S
Aspect ratio S
Terrain A
SVF S
Traffic density W,D H
Irrigation S
Moisture/heat vents S
Source areas S
Micro scale map Key A
Sketch map A
Additional comments R

그림 5는 복합기상센서가 설치된 드림파크골프장(01002)에 대한 미세 규모 정보의 관측소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복합기상센서는 타워 형태로 옥상에 설치되어 있다. 옥상 바닥으로부터 복합기상센서는 2m 높이에, 풍향계는 7 m, 풍속계는 7 m, 우량계는 1.5 m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센서 바로 아래의 바닥 면은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비가 설치된 관측소는 1층 건물이며 높이는 3m임을 나타낸다. 장비로부터 매우 가까운 지점에는 수분이나 열 배출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며, 지도처럼 관측소 건물의 형태는 원형을 이루고 옥상 위는 콘 모양으로 경사진 지붕이 있다. 건물 바로 앞에 도로가 있으나 교통량이 거의 없으므로 도시 관측소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차량의 효과는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5. 
The WISE station micro-scale information metadata on the Dream Park CC.

2. 2. 4 관측소 시각 정보

공간 규모를 좁혀가면서 작성된 관측소 메타데이터는 상세 주변 환경 정보와 지도를 포함하고 위에서 내려다 본 수평적인 위치의 정보를 제공하지만 입체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하기 어렵다. 이를 위하여 관측자 또는 센서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공간적인 환경 정보에 대하여 시각정보 메타데이터로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파노라마 전경 사진과 센서 입장에서 바라본 방위별 주변 사진과 고도각별 장애물 정보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장애물이 어떤 위치에서 관측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할 수 있다. 복합기상센서 관측소의 경우 수평 지도를 보면 사방으로 나무의 평균 높이가 10 m 정도로 이루어져 일사에 큰 장애요소가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그림 6) 관측 장비의 외부 8방향 사진을 통해 관측소 주변 환경을 센서 또는 관측탑의 높이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그림 7), 장비의 구성 사진과 관리 일지를 통해 관리 이력을 남기도록 하였다(그림 8).


Fig. 6. 
The WISE station visual information metadata sheet (I) including horizontal map, panoramic photographs, station photographs on the Dream Park CC.


Fig. 7. 
The WISE station visual information sheet (II) including cardinal photographs on the Dream Park CC.


Fig. 8. 
The station visual information metadata sheet (III) including enclosure photographs and maintenance log on the Dream Park CC.


3. 요약 및 결론

이상에서 WMO와 KMA의 기상관측을 위한 메타데이터와 WMO 도시기상 관측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도시기상 관측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표준화하였으며, 이를 WISE에서 구축한 복합기상센서 관측망과 드림파크골프장 관측소에 적용한 예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표준화한 메타데이터는 WISE에서 구축한 에너지수지 관측망, 에어러솔 라이다와 운고계 관측망에도 적용하여 작성하였다.

도시기상관측을 위한 메타데이터는 크게 관측망 메타데이터와 관측소 메타데이터로 구성하였고, 이 중에서 관측망 메타데이터는 장비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같은 장비가 설치된 모든 위치에 대한 지점 정보와 관측 변수, 담당자 정보를 포함한다. 관측소 메타데이터는 장비가 설치된 지점에 따라 분류된 것으로 일반 정보, 국지규모 정보, 미세규모 정보의 3가지 규모 정보와 시각 정보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관측소 일반 정보는 관측소에 대한 기본 정보와 운영상태, 통신 정보 등을 포함하며, 10배 확대된 국지규모 정보는 도시 특성 분류 기준에 의한 도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가장 작은 규모인 미세규모 정보는 장비의 설치 위치, 유형, 방식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장비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환경을 포함한다. 시각 정보는 파노라마 사진, 8방위 사진, 스케치 지도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관측 지점의 모든 환경 조건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메타데이터는 관측 환경이 바뀔 때마다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관측 환경의 변화가 기상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나라의 도시기후대의 구분이 외국의 구분 사례와 매우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어 이에 대해 추가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수행된 도시기상관측을 위한 메타데이터가 관측 자료와 함께 제공될 때 도시에서 지표와 대기 사이의 에너지와 운동량의 교환, 복사에너지 수지, 대기경계층 모델의 개발 및 개선 연구에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메타데이터의 형식은 도시기상 관측 외에도 해양, 산악 기상 관측 등의 특수한 환경에서의 기상 및 환경 관측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기상청 차세대도시농림융합스마트 기상 서비스개발(WISE)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KMA-2012-0001).


References
1. Aguilar, E., I. Auer, M. Brunet, T.C. Peterson, and J. Wieringa, (2003), Guidance on metadata and homogenization, WMO/TD-1186, WCDMP-53, p50.
2. Ahn, B.-Y., J.-M. Han, O.-K. Kwon, and M.-S. Joh, (2008), A study on design of metadata for global earth observation data, J. Inform. Manage, 39(2), p211-2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633/JIM.2008.39.2.211] .
3. Basara, J.B., B.G. Illston, C.A. Fiebrich, P.D. Browder, C.R. Morgan, A. McCombs, J.P. Bostic, and R.A. Mc-Pherson, (2010), The Oklahoma City Micronet, Meteor. Appl, 18, p252-261, [https://doi.org/10.1002/met.189] .
4. Chae, J.-H., M.-S. Park, and Y.J. Choi, (2014), The WISE quality control system for integrated meteorological sensor data, Atmosphere, 24(3), p445-4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Y., S.-L. Kang, J. Hong, S. Grimmond, and K.J. Davis, (2013), A next-generation weather information service engine (WISE) customized for urban and surrounding rural areas, Bull. Amer. Meteor. Soc, 94, pES114-117, [https://doi.org/10.1175/BAMS-D-12-00217.1] .
6. Davenport, A.G., C.S.B. Grimmond, T.R. Oke, and J. Wieringa, (2000), Estimating the roughness of cities and sheltered country. 12th Conf. on Appl. Climatol, Asheville, NC, Amer. Meteor. Soc, p96-99.
7. Grimmond, C.S.B., (2006), Progress in measuring and observing the urban atmosphere, Theor. Appl. Climatol, 84(1-3), p3-22, [https://doi.org/10.1007/s00704-005-0140-5] .
8. IMF, (2007), “The March of the Cities”. Finance and Development, September 2007.
9. Jang, Y.-K., and J.-W. Kim, (1991), A Study on the Relation of Urban Heat Island and Air Pollution in Seoul A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7(1), p49-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eon, B.J., (2011), A study on the applying metadata standards in cadastral information for increasing its utilization, in cadastral information for increasing its utilization, 13(1), p81-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eon, B.J., and K.H. Kim, (2010), A plan of standardization for cadastral information, Proceed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2010, p3-16.
12. Kim, K.-H., Y.-C. Song, H.-G. Kim, and S.-J. Min, (2003), A study on establishing a metadata standard for facilitating the usage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J. Korea Open GIS Assoc, 5(2), p55-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MA, (2007), A study on modification and management for nation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network.
14. KMA, (2012), A study on for updating and improving metainformation research and a management system III.
15. KMA, (2013), Manual of management and research on meta information.
16. Kwon, T.H., M.-S. Park, C. Yi, and Y.J. Choi, (2014), Effects of different averaging operators on the urban turbulent fluxes, Atmosphere, 24(2), p197-2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4191/Atmos.2014.24.2.197] .
17. Lee, H.-Y., and S.-J. Kwak, (2007), A study on metadata for sharing the information of earth observation, J. Korean Soc. Lib. Sci, 41(2), p257-2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4275/KSLIS.2007.41.2.257] .
18. Lee, S.-H., M.-H. Park, and H.-D. Kim, (2008), Study on the Variation of Nighttime Cooling Rate Associated with Urbanization, J. Korean Soc. Atmos. Environ, 24(1), p83-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572/KOSAE.2008.24.1.083] .
19. Muller, C.L., L. Chapman, C.S.B. Grimmond, D.T. Young, and X. Cai, (2013), Toward a standardized metadata protocol for urban meteorological networks, Bull. Amer. Meteor. Soc, 94, p1161-1185, [https://doi.org/10.1175/BAMS-D-12-00096.1] .
20. Nam, T., and S. Lee, (2010), Study on the semantic extension of the concept of metadata, J. Korean Soc. Lib. Sci, 44(4), p373-3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4275/KSLIS.2010.44.4.373] .
21. NISO, (2004), Understanding metadata, National Information Standards Organization Press, p22, Available online, at, www.niso.org/publications/press/UnderstandingMetadata.pdf.
22. NRC, (2009), Observing weather and climate from the ground up: A nationwide network and networks, National academies press, p4-8.
23. Oke, T.R., (1982), The energetic basis of the urban heat island, Quart, J. Roy. Meteor. Soc, 108, p1-24.
24. Oke, T.R., (2004), Siting and exposure of meteorological instruments at urban sites. Tech. Rep. 27th NATO/CCMS Int. Technical Meeting on Air Pollution Modelling and its Application, Banff, AB, Canada, University of Aveiro and University of Calgary, p14, Avail able online, at, http://urban-climate.com/ITM04-Oke.pdf, [https://doi.org/10.1007/978-0-387-68854-1_66] .
25. Oke, T.R., (2006), Towards better scientific communication in urban climate, Theor. Appl. Climatol, 84(1-3), p179-190.
26. Oke, T.R., (2009), The need to establish protocols in urban heat island work. 8th Symp. on the Urban Environment, Phoenix, AZ, Amer. Meteor. Soc, J8.4 Available online, at, https://ams.confex.com/ams/89annual/techprogram/paper_150552.htm.
27. Park, M.-S., S.H. Park, T.-H. Kwon, J.H. Chae, M.-H. Choi, Y. Song, C.Y. Cho, and Y. Choi, (2014), Strategies for the Weather Information Service Engine Urb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Network, Proceedings of the Autumnal Meeting on Korea Meteorological Society, p393-395.
28. Rotach, M.W., R. Vogt, C. Bernhofer, A. Christen, A. Clappier, B. Feddersen, S.-E. Gryning, G. Martucci, H. Mayer, V. Mitev, T.R. Oke, E. Parlow, H. Richner, M. Roth, Y.A. Roulent, D. Ruffieux, J.A. Slamond, M. Schatzmann, and J.A. Voogt, (2005), BUBBLE-an Urban Boundary Layer Meteorology Project, Theor. Appl. Climatol, 81(3-4), p231-261, [https://doi.org/10.1007/s00704-004-0117-9] .
29. Stewart, I.D., (2011), A systematic review and scientific critique of methodology in modern urban heat island literature, Int. J. Climatol, 31, p200-217, [https://doi.org/10.1002/joc.2141] .
30. Stewart, I.D., and T.R. Oke, (2012), Local climate zones for urban temperature studies, Bull. Amer. Meteor. Soc, 93, p1879-1900, [https://doi.org/10.1175/BAMS-D-11-00019.1] .
31. Tan, J., L. Yang, C.S.B. Grimmond, J. Shi, W. Gu, Y. Chang, P. Hu, J. Sun, X. Ao, and Z. Han, (2014), Urban integrated meteorological observations: practice and experience in Shanghai, China, Bull. Amer. Meteorol. Soc, [https://doi.org/10.1175/BAMS-D-13-00216.1] .
32. WMO, (2003), GCOS Climate Monitoring Principles, Available online, at, www.wmo.int/pages/prog/gcos/documents/GCOS_Climate_Monitoring_Principles.pdf.
33. WMO, (2006), Initial Guidance to obtain representativ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at urban sites, WMO-/TDNo.1250.
34. WMO, (2008), Guide to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observation. 7th ed. WMO-8, Available online, at, www.wmo.int/pages/prog/gcos/documents/gruanmanuals/CIMO/CIMO_Guide-7th_Edition-2008.pdf.
35. WMO, (2010a), Guide to agricultural meteorological practices. WMO-134, Available online, at, www.wmo.int/pages/prog/wcp/agm/gamp/documents/WMO_No134_en.pdf.
36. WMO, (2010b), Manual on the global observing system. WMO-544, Available online, at, www.wmo.int/pages/prog/www/OSY/Manual/WMO544.pdf.
37. WMO, (2011), Guide to climatological practices. WMO-100, Available online, at, www.wmo.int/pages/prog/wcp/ccl/documents/WMO_100_en.pdf.
38. Yoo, S., (2010), A diagnostic analysis of metadata R&D status in Korea, J. Korean Soc. Lib. Sci, 44(2), p405-4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4275/KSLIS.2010.44.2.405] .